본문 바로가기
경제(Economy)

대차대조표, 순운전자본, 유동성 궁금?

by j-mecha 2022. 10. 4.
반응형

기업의 대차대조표란 무엇일까요?

1) 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특정시점에 정리한 것입니다.

2)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기업의 부채와 자본을 특정시점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자본=자산-부채)

3) 자산항목은 배열은 유동성이 감소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유동자산(Current assets): 일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 될 수 있는 자산입니다

 ex) 재고자산, 현금, 외상매출 등

-고정자산(Fixed assets): 현금화하기 어렵고 오랫동안 존재가능한 자산입니다

 ex) 지식재산, 특허, 설비 등

-유동부채(Current liabilities):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부채입니다

-장기부채(Long-term liabilities): 만기가 1년 이후 도래하는 부채입니다

 

4) 대차대조표 항등식: 자기자본은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뺀값입니다.

 cf) 자산총액=부채총액+자기자본

 

기업의 순운전자본은 무엇일까요?

1) 순운전자본(Net Working Capital): 기업을 경영하기 위해 필요한 운용유동성을 측정한 것입니다.

 cf) 순운전자본=유동자산-단기부채

2) "순운전자본이 음수"가 뜻하는 것은 기업이 향후 1년동안 채권자에게 지불하도록 요구되는 부채보다 1년이내에 사용가능한 현금이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순운전자본이 양수"가 뜻하는 것은 기업이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부채를 변제하고 운영비용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은 순운전자본이 양수

 

기업의 유동성이란 무엇일까요?

1) 현금화가 얼마나 가능한가를 나타내는 정도입니다. 다만, 현금화가 자산가치를 치명적으로 훼손해서는 안되는 범위입니다.

2) 공정가격과 긴급처분가격의 차이로 측정가능합니다.

3) 현금, 현금유사자산, 외상매출금 등이 유동자산입니다.

4) 고정자산은 유형자산, 무형자산 모두 비유동적인것으로 간주합니다.

5) 기업이 유동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면, 재무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은 줄어듭니다. 하지만 자산대비해서 기업의 수익율은 감소하게 됩니다.

반응형

'경제(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가치 비율분석, 궁금?  (0) 2022.10.11
기업의 이윤비율, 궁금?  (0) 2022.10.10
자본구조 비율, 궁금?  (0) 2022.10.09
유동성 비율, 궁금?  (0) 2022.10.09
재무제표의 현금흐름, 궁금?  (0)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