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Economy)

시장가치 비율분석, 궁금?

by j-mecha 2022. 10. 11.
반응형

기업 재무 비율분석 중 "시장가치(Market Value)" 를 이용한 비율들입니다.

■ 1주 당 시장가격에 바탕을 둔 비율입니다.
상장회사는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 주가순이익비율(Price-Earnings Ratio: PER)

■ 주가순이익비율=주당 가격/주당 순이익
ㆍ기업이 이익 1원당 지불하고 있는 가격을 나타냅니다.
ㆍPER가 높으면 기업의 미래성장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ㆍ이익이 '0'에 가까울경우 PER가 비정상적인 높은 수치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주가매출액비율(Price-Sales Ratio)

■ 주가매출액비율=주당 가격/주당 매출액

◇ PEGR(Price Earnings to Growth Ratio)

■ PEGR=주가순이익비율/주당 순이익의 예상증가율
ㆍPER보다 더 나은 정보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주당 순이익 증가율을 추가로 산정하기 때문입니다.
ㆍPEGR이 1보다 크면: 현재기준 고평가
ㆍPEGR이 1에 가까우면: 현재기준 평가적정

◇ 주가매출액비율

ㆍEPS가 음수인 경우, 주가매출액비율이 사용가능합니다.

◇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Market-to-Book Ratio)

■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주당 시장가치/주당 장부가치
ㆍ장부가 자본은 대차대조표의 자본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ㆍ기업 투자의 시장에서 가치와 투자비용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유는, 장부가는 과거의 데이터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ㆍ수치가 1보다 낮다면: 기업의 가치창출이 실패했음을 의미합니다.

◇ 기업가치-EBITDA비율

■ 기업가치-EBITDA비율=기업가치(Enterprise Value)/EBITDA
cf) EBITDA: Earning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냅니다.
ㆍ기업가치는 기업의 영업자산의 시장가치를 예측한 것입니다.
ㆍ기업의 영업자산의 가치를 기업의 영업현금흐름과 비교한 것입니다.

반응형

'경제(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경매, 법원경매정보 열람하기  (0) 2024.02.03
듀퐁항등식(Du Pont Identity),궁금?  (0) 2022.11.21
기업의 이윤비율, 궁금?  (0) 2022.10.10
자본구조 비율, 궁금?  (0) 2022.10.09
유동성 비율, 궁금?  (0)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