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Economy)

유동성 비율, 궁금?

by j-mecha 2022. 10. 9.
반응형

기업 재무 비율분석 중 "유동성(Liquidity) "의 분석은 기업의 단기적인 채무 변제능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유동비율 (Current Ratio)

 ■ 유동비율=유동자사/유동부채

  ㆍ단기유동성을 측정합니다. ex)유동비율 1.5="1원당 1.5원의 유동자산 보유함"

  ㆍ유동비율은 보통 1이상입니다.

  ㆍ유동비율은 금융거래에 영향을 받습니다.

  ㆍ기업이 부채발생능력이 있다면, 유동비율이 낮은것은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ㆍ유동비율이 높으면→ 채권자가 유리합니다.

  ㆍ유동비율이 과도하게 높으면→ 기업은 현금과 유동자산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당좌비율(Quick Ratio)

 ■ 당좌비율=(유동자산-재고자산)/유동부채

  ㆍ당좌비율은 유동비율과 유사하나, 재고자산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ㆍ재고자산은 유동자산 중에서 유동성이 낮은편입니다.

  ㆍ기업이 재고자산을 많이 보유할 경우→ 유동비율은 기업의 유동성을 과대평가 하게 됩니다.

  ㆍ유동비율이 높고↗ 당좌비율이 낮다면↘, "기업의 재고자산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현금비율(Cash Ratio)

 ■ 현금비율=현금/유동부채

  ㆍ현금비율은 유동성이 높은 현금만 고려합니다.

  ㆍ단기 채권자는 현금비율에 관심이 많습니다.

 

◇ 순운전자본의 총자산비율(Net Working Capital to Total Assets)

 ■ 순운전자본의 총자산비율=순운전자본/유동부채

  ㆍ순운전자본은 기업의 유동성을 대표하기도 합니다.

[경제(Economy)] - 대차대조표, 순운전자본, 유동성 궁금?

 

대차대조표, 순운전자본, 유동성 궁금?

기업의 대차대조표란 무엇일까요? 1) 기업의 자산과 부채를 특정시점에 정리한 것입니다. 2)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기업의 부채와 자본을 특정시점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자본=자산-부채)

j-mecha.com

 

◇ 간격척도(Interval Measure)

 ■ 간격척도=유동자산/일일 평균 운영비용

  ㆍ기업의 현금유입이 없어도 존속가능한 기간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ㆍ신규기업이 다음 라운드를 지원받기 전에 얼마나 운영이 가능한지 알 수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