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Heart)
- 심장은 가슴 우리 안에 위치하며, 가로막 위, 허파 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이 유지될 수 있게 합니다.
- 혈액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됩니다.
- 심장의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하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산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허파, Lung)
-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으로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입니다.
- 가슴 우리 안에 위치하며 오른쪽, 왼쪽 허파로 한 쌍을 이룹니다.
기관(Trachea)
- 기관지, 세기관지, 폐포 등과 함께 합기도를 이루는 구역으로 후두에서부터 기관지로 이어지는 관 모양의 기도입니다.
간(Liver)
- 가로막 아래 복부의 오른쪽 윗부분에 위치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몸속 기관입니다.
- 간의 무게는 약 1~1.5kg, 크기는 양 손바닥을 합친 정도이며 붉은색을 띱니다.
- 간에서는 쓸개즙을 만들어 지방의 분해를 도와주며, 영양소를 저장하고, 우리 몸에 해로운 암모니아를 요소로 바꾸는 등 많은 일을 합니다.
쓸개(Gallbladdr)
- 쓸개는 길이 약7~10cm 정도 되는,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주머니로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일을 합니다.
위(Stomach)
- 식도와 십이지장 사이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소화기관, 'J'자 모양이고 크기가 사람 발만 합니다.
- 음식물이 식도를 지나 위에 들어오면 본격적으로 소화가 시작되는데, 위에서는 위액이 분비되어 단백질을 분해합니다.
- 또 위액에는 강한 산성을 띠는 염산이 들어 있는데, 염산은 단백지 소화효소의 작용을 도와줄 뿐 아니라 음식 속의 세균을 죽이고, 소화관을 지나는 동안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콩팥(신장,Kidney)
-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어 오줌을 만드는 일을 하는 기관, 신장이라고 부릅니다.
- 콩팥은 우리 몸 등 쪽 허리의 양쪽에 있는 강낭콩 모양의 기관입니다. 오줌관을 통해 방광과 연결되어 있고 방광은 요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콩팥은 오줌을 만들어 내면서 혈액 속의 노폐물을 청소하는 큰일을 하므로 하루라도 일을 못하면 몸에 이상이 생깁니다.
- 콩팥은 하루에 1.5리터의 오줌을 만들어 내며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 콩팥에 이상이 생겨 제 기능을 못할 경우는 인위적인 혈액 투석으로 노폐물을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방광(Urinary bladder)
-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속 빈 주머니와 같은 근육기관입니다.
- 골반 내, 두덩결합(치골결합) 뒤쪽에 위치합니다.
- 정상 성인은 400~500cc 정도까지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방광은 위로는 신장에서 내려오는 요관이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요도가 연결됩니다.
대장(Large intestine)
- 큰창자라고도 합니다. 맹장, 충수, 결장, 직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약 1.5m로 전체 장의 1/5 정도입니다.
- 소장 다음에 이어지는 소화관으로 음식물의 수분흡수,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 저장, 배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음식물의 분해 과정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또한 대장에 서식하는 세균(bacteria)들이 생산하는 여러 가지 물질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소장(Small intestine)
- 위와 대장 사이에 있는 길이 6~7m에 이르는 소화관으로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분을 소화·흡수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 소장은 위에서부터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 소장 내면의 점막에는 윤상으로 뻗어있는 수많은 주름이 있고 그 표면에 융모라는 것이 있는데, 이 융모사이로 장선이 열려있어 장액을 이곳으로 분비합니다
반응형